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08

( 소통/심리상담) 내 이야기를 들어주는 사람이 있나요? 제가 아이들과 상담을 하다 보면 꼭 물어보는 질문이 있습니다. 그것은 집에서나 학교에서 누가 너의 이야기를 들어주느냐 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단순이 누구랑 함께 시간을 많이 보내고 사는지와는 약간 다른 질문입니다. 내가 무슨 이야기를 할때, 내 이야기를 집중해서 들어주고 이해하려고 하는 사람이 있느냐고 물어봅니다. 보통은 부모나 친구들이라고 하지만 아예 없다고 하는 아이들도 꽤 있습니다. 분명히 그의 집에 부모가 살고 있고 형제자매가 있는데도 말이죠. 그럼 그 아이의 부모는 아이를 사랑하지 않고 돌보지 않을까요? 절대로 그렇지 않습니다. 다들 아이들의 위해서 열심히 일하고 식사를 차리고 청소를 하고 숙제를 봐줍니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을 완벽하게 해도 아이는 집에서 외로울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마음을 .. 2021. 5. 19.
( 자기조절능력/ 감정조절능력) 생각하는 의자는 벌을 주는 것이 아닙니다. 체벌이 법적으로 금지되면서 많은 부모님들이 아이들을 어떻게 훈육해야 할지 고민하시리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많은 부모님들 사용하시는 것이 '생각하는 의자 ( thinking chair)'를 사용합니다. 그래서 ' 너 뭘 잘못했는지 생각하고 반성하고 와! ' 라며 아이들에게 타임아웃을 주고 반성하게 합니다. 이렇게 생각하는 의자가 많은 가정에서 벌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지만, ( 저도 심리상담을 공부하기전에는 그랬습니다 ㅜㅜ) 생각하는 의자의 원래 목적은 아이들의 흥분을 가라앉히는 용도였지 벌을 주는 용도가 아닙니다. 어른도 그렇고 아이들도 그렇고 너무 흥분한 상태에서는 그 어떤 대화도 되지않고 훈육은 더더욱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아이들이 스스로 자신의 감정을 추스르도록 기다려주는 용도로 생각하는 의자가 시.. 2021. 5. 18.
(부부상담/ 부부관계회복) 외도와 불륜만 배우자에 대한 배신일까요? 우리가 통상적으로 생각하기는 부부 사이에 외도와 불륜 등만을 배우자에 대한 배신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외도와 불륜은 부부를 단숨에 깨어지게 만드는 폭탄 같은 위력을 가진 사건이지만 부부 사이의 배신은 훨씬 다양하게 나타난다고 가트맨 박사님은 말합니다. 세계적인 권위의 부부상담가 이시자 감정코칭의 창시자인 가트맨 박사님의 책에서 부부관계의 근본적인 원인이 부부 사이의 신뢰의 부재이고 이 신뢰의 부재의 주 요인은 서로 간에 배신과 배반이라고 했습니다. " 배우자 모두 한쪽이 부정적인 비교를 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지만 둘 다 인정하지 않거나 그 위험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자신의 삶에 백 퍼센트 만족하며 사는 사람이 몇이나 되겠냐고 반문하며, 이런 종류의 배반은 바람을 피우는 것보다 낫다고 생각한다.. 2021. 5. 17.
(추천노래) 이승윤의 아모르파티 https://www.youtube.com/watch?v=5Fhco9XQn3Q 산다는 게 다 그런 거지 누구나 빈손으로 와 한 편의 얘기들을 세상에 뿌리며 살지 자신에게 실망하지 마 모든 걸 잘할 순 없어 오늘보다 더 나은 내일이면 돼 인생은 지금이야 아모르파티 아모르 파티 인생이란 붓을 들고서 무엇을 그려야 할지 고민하고 방황하던 시간이 없다면 거짓말이지 말해 뭐해 쏜 화살처럼 사랑도 지나갔지만 그 추억들 눈이 부시면서도 슬펐던 행복이여 나이는 숫자 마음이 진짜 가슴이 뛰는 대로 가면 돼 이제는 더 이상 슬픔이여 안녕 왔다가 한 번의 인생아 연애는 필수 결혼은 선택 가슴이 뛰는 대로 하면 돼 눈물은 이별의 거품일 뿐이야 다가올 사랑은 두렵지 않아 아모르파티 아모르 파티 말해 뭐해 쏜 화살처럼 사랑도 지.. 2021. 5. 16.
(아동심리상담/ 부모교육) 형제자매 차별하지 않으려면.. 자녀가 한 명 이상인 부모님들의 경우 아이들을 똑같이 사랑하고 키우고 싶어 하십니다. 특히 첫째를 낳고 동생을 보게 되면 큰아이가 왕좌를 빼앗긴 왕의 마음과 같다는 말에 부모님께서 더 애틋하게 대하는 경우도 보았습니다. 이렇듯 요즘 부모들을 사실 모든 아이들이 공평하게 사랑받고 크길 원합니다. 저희 어린 시절처럼 여자라서 혹은 첫째라 막내라 차별하며 키우는 경우는 없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아이를 차별하지 않게 키운다는 말이 아이들에게 똑같은 옷을 입히고 같은 장난감을 주고 같은 시간만큼 놀아주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차별의 기준은 부모가 베풀어준 관심과 애정의 길이와 양이 아니라 아이들이 느끼는 감정이 더 중요합니다. 그리고 아이들이 각각 느끼는 정도가 기질에 따라 틀립니다. 아이들의 발달과정과 .. 2021. 5. 15.
( 부부상담/ 미해결과제) 자이가닉 효과 제가 많은 부부들과 이야기를 하다 보면 공통적으로 보이는 현상이 있었습니다. 남편들이 아내와 대화를 하기 꺼려하는 가장 큰 이유 중에 하나가 대화를 하다 보면 10년 전 20년 전 심지어 40-50년 전의 캐캐 묵은 시절의 이야기까지 다 나온다는 것입니다. 아내들의 엄청난 기억력에 혀를 내두르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게 과거의 아픈 기억과 실랑이를 하다 보면 대화는 늘 싸움으로 끝나기 때문에 아내가 깊은 대화를 하는 것이 두렵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많은 남편들이 회피와 도망을 선택하는 것이지요. 깊은 대화를 하다가 묻어둔 자신의 실수나 잘못들이 두루마리 휴지처럼 딸려 나오기 때문입니다. 이런 현상은 사실 부부사이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어린 시절 부모에게 받았던 상처나 학창 시절 왕따 혹은 학교폭력을 당.. 2021. 5.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