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사랑의 너비와 높이와 길이를 깨달아”
사람의 행동과 마음을 공부하고 주변 사람들을 지켜본 결과 사람은 잘 변하지 않는다 걸 알았습니다. 아무리 지식이 많고 경험이 풍부해도 사람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경험과 지식의 틀 안에서만 행동하는 경향이 많았습니다. 우리의 뇌가 사실 그렇게 작동합니다. 불편함과 어색함의 강을 건너는 것은 사실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그렇다고 또 모든 사람이 변하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어떤 사람들은 어떤 사건과 계기로 전혀 다른 삶을 사는 사람들도 분명히 있었습니다. 그래서 그 차이가 사실 너무 궁금했습니다. 그래서 그 차이를 찾아보니 “깨달음”이었습니다. 깨달음과 지식은 사실 많이 다릅니다. 지식은 “야채는 우리 몸에 좋다. 운동은 중요하다. 가족은 사랑해야 한다”라는 이런 사실을 알고 있는 것뿐입니다. 마치 지구는 둥글다는 것을 알고 있는 것처럼..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안다고 우리의 삶이나 행동엔 큰 차이가 없습니다.
하지만 깨달음은 이 지식이 내 삶에서 왜 필요하고 내 문제가 내 삶에서 어떻게 영향을 줄지 고민하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깨달으면 행동이 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성경에서 하나님의 사랑을 진정 깨달으면, 사람들이 변하는 것과 같습니다. 건강이 중요하다는 것을 머리로 아는 것과 나의 나쁜 식습관이 후에 어떤 결과를 초래할지 깨달은 사람은 당연히 음식 조절하게 되어있습니다. 나의 말과 행동으로 우리의 가정이 파괴되고 있음을 정말로 깨닫는 사람은 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내 앞에 놓여있는 어색함과 불편함의 강을 건너지 못하면 내가 이 강에서 그냥 떠내려 갈 수 있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죽을힘을 다해 강을 건너려고 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나는 항상 궁금했습니다. 왜 똑같은 지식이나 정보를 들어도 누구는 깨닫고 누구는 깨닫지 못할까? 그래서 누구는 변하고 또 어떤이들은 늘 제자리 일까? 그것은 모든 사람이 자신의 문제나 고민을 두고 “씨름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깨닫는다는 말의 성경적 어원은 “씨름한다”에서 나왔고 나아가” 차지한다”는 말이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내가 알고싶고 변하고 싶은 상황이나 문제를 두고 깊이 씨름하는, 즉 고민하고 묵상하고 애쓰는 사람들에게 “깨달음” 이 온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말 세상엔 공짜는 없고 문은 두드려야 열리고 갈급하게 찾는 사람에게 길을 보여주다는 말은 진리였습니다. 변하지 않는 내모습이나 가정의 문제, 관계의 문제의 본질은 답이 없어서도 아니고 몰라서도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 문제를 가지고 제대로 씨름하지 않아서라는 말이었습니다. 왜냐하면 문제를 가지고 씨름하는 것은 힘들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사실 많은 결론은 환경과 상대가 변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변해야 하는 것이 많고 하기 싫은 경우가 대부분이었습니다. 그래서 대충 덮어두고 넘어가고 아는척하고 살아가는 것이 훨씬 편하기 때문이지요. 그러나 정말 내가 달라지길 원한다면. 나와 내 주변의 관계가 달라지길 원한다면 씨름하고 고민하고 구하고 차지하는 수고를 반드시 지불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파도에 휩쓸러 허우적 거리며 사는 사람이 있고, 파도를 노련하게 타는 사람이 있습니다. 파도가 치는 것을 막을 수는 없으나 파도가 칠 때 내가 보드를 이용해 탈 수 있다는 깨달음과 동시에 언젠가 파도를 타겠다는 의지만 있으면, 처음에 물에 빠지고 허우적거려도 이겨 낼 수 있습니다. 나와 내 삶이 좀 더 나은 방향으로 변하고 싶다면, 변하지 않는 나와 씨름할 준비를 하세요. 그리고 깨달음이 올 때까지 계속 그 끈을 놓지 마세요. 그러면 언젠가 깨달음이 내가 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 주리라 믿습니다.
관련글
'심리학 > 인간관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상담/인간관계) 우리가 꼭 만나야 하는 사람 (4) | 2020.08.17 |
---|---|
(심리상담치료/마음다스리기) 내 마음의 밭 (0) | 2020.08.17 |
(심리상담/인간관계) 방관한죄는 생각보다 무겁다 (2) | 2020.08.13 |
(심리상담치료/자기계발) 나와 가족의 행복과 성공의 열쇠는 “자기이해지능” (0) | 2020.08.07 |
(심리상담/예술치료) Art is therapy: 예술은 치료다. (0) | 2020.08.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