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39eV5foyX8Y
기후재앙에 대한 뉴스와 이야기가 많이 나옵니다. 아니 온 세상 사람들이 다 이해하고 실천해야 할 때까지 더 외쳐야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왜냐하면 조천호 교수님의 말씀대로 우리에겐 선택이 없기 때문입니다. 기후변화의 가장 큰 문제는 단순히 날씨가 더워지고 산불이 나고 빙하가 녹는 것이 아닙니다. 이런 자연재앙으로 자연이 우리에게 선물해준 많은 식량들이 사라질 테고 그러면 인류는 전쟁을 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죠.
조천호 교수님의 말처럼 인류역사상 인간은 누군가와 공생하며 사이좋게 지낸 적이 없습니다. 나와 내 가족의 생명이나 내 나라의 위기가 찾아온다면 무슨 짓이 든 할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나 가진 자와 가진 나라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특권과 소유를 절대로 곱게 나눠주지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번 코로나 백신처럼 말이죠. 강대국인 미국과 이스라엘 그리고 유럽의 나라들이 보여줬던 것처럼 자신의 국민을 먼저 보호하게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식량문제도 별반 다르지 않게 될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나마 땅덩어리가 넓은 미국, 호주, 뉴질랜드, 중국 등은 아마도 자급자족이 가능할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주요 식량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나 토지 규모가 작은 국가들 그리고 지금도 극심한 기아에 허덕이는 많은 빈민국들은 대혼란에 빠질 수밖에 없고 살기 위해 전쟁을 할 수밖에 없어진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지금 더욱더 필요한 것은 인성이고 인류애라고 교수님은 말씀하십니다. 앞으로 미래에 우리가 전쟁이나 혼란 없이 평화롭게 살기 위해선 인성과 인품이 필요할 것입니다. 나의 유익이나, 나의 성공, 내 가족과 국가의 안락함 만을 생각하는 이기적인 사람이 아니라 주변인들과 함께 살아가려고 노력하는 사람들이 많아져야 전쟁을 막을 수 있다면서요. 그러기 위해서 어른부터 먼저 본이 되고 바른 교육으로 이끌어야 하지 않나 싶습니다.
오늘 아침 뉴스에 부산대학교 교정에서 8-10인분정도 되는 중국음식을 시켜먹고 먹은 음식 그릇과 일회용 쓰레기를 그대로 두고 사라져 버린 사진이 올라왔습니다. 학교 재학생이 학교 게시판에 이건 좀 심하지 않느냐는 식으로 글을 올린 것이 기사화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론 그냥 철없는 중고등학생들의 소행이길 바랍니다. 정말 성인이 된 학교 외부인의 소행이나 부산대 재학생들의 짓은 더더욱 아니길 바랍니다.
그냥 일회성 방문으로 잠시 왔다간 어른의 행동이라도 너무 부끄러운 짓입니다. 그러나 만약 부산대 대학생들의 소행이라면 개인적으론 더욱더 안타깝습니다. 부산대학교는 부산에서 나름 공부 잘하는 수재들만 가는 대학입니다. 중고등학교 때 다들 반에서나 전교에서 상위권 5 % 안에 들어야 갈 수 있는 곳이 입니다. 한마디로 부모나 가족들에게 자랑이 되었을 아이들입니다.
그러나 위의 행동이 학교 재학생들의 짓이었다면 그들은 어린시절 공부는 잘했을지는 몰라도 인품이나 성품은 하나도 성장하지 못한 어린 아이나 다름이 없습니다. 적어도 5명은 족히 넘게 모여 먹은 것 같은데도 한 사람도 치우지 않았다는 것이 신기할 따름입니다. 이런 학생들에게 높은 교육과 기술은 자신의 이익과 욕심을 채우는 도구밖에 되지 않을 것입니다. 이런 사람들이 누군가의 위에 올라서고 회사와 정치를 한다면 그야말로 그 공동체는 비극을 맞이하리라 생각합니다.
성공보다는 사람됨이 먼저입니다. 성품과 인격을 갖추지 못한 똑똑하고 성공한 사람들은 자신의 배만 불리거나 타인을 괴롭히는 소시오 패스나 사이코 패스밖에 되지 못합니다. 그런 사람과 함께 살아가는 사회가 행복할리 없습니다. 누군가와 함께 살아가는 것이 어색하지 않은 사람이 되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똑똑하고 성공한 자녀보다 책임감 있고 타인을 존중할 줄 아는 자녀를 키우시길 바랍니다. 그것이 어쩌면 가장 안전하고 행복한 미래를 만드는 지름길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심리학 > 인간관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상담/좋은 습관 들이기) 습관이 되면 쉬워집니다. (11) | 2021.09.01 |
---|---|
(섭식장애/ Eating disorder) 단순히 충동조절이 문제가 아닙니다. (24) | 2021.08.12 |
(트라우마 극복하기) 핵심은 뇌를 안정시켜야 합니다. (11) | 2021.08.05 |
(심리상담/ 역할적 자아) 당신의 페르소나는 무엇입니까? (11) | 2021.07.21 |
(심리상담/ 자기돌봄) 회복탄력성을 키우려면 (6) (24) | 2021.07.18 |
댓글